소프트웨어 분석 연구실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기술을 연구합니다. 본 연구실은 프로그래밍 언 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SW 자동 분석 기술, SW 자동 패치 기술, SW 자동 합성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학술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분야 최상위 학술대회 및 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발표함과 동시에 국내외 기업과 연계하여 실제 문제 해결에 이 바지하고 있습니다.
소프트웨어보안 연구소 (영문명: Center for Software Security and Assurance, 이하 “CSSA”)는 보안 전문가가 아니라도, 누구나 쉽게 보안 문제점을 전문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‘보안 취약점 자동분석 플랫폼, IoTcube (https://iotcube.net)’를 개발하여, 전 세계에 공개 운영하고 있습니다. 고려대 6개 연구실이 주축이 되어, 미국 CMU, USC(i3컨소시엄), 스위스 ETH 등 보안 취약점 분석 분야의 최고의 전문가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며 보안 분야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연구소(단)장명
Heejo Lee
연구소 담당자(연락처)
02-3290-4816
연구소 사무실 위치
이학관별관 106A호
연구소 홈페이지 주소
https://cssa.korea.ac.kr
연구(사업) 분야 및 내용
4차 산업혁명의 구현기술인 5G, IoT, 블록체인 등 융합산업 분야의 보안취약점 분석 자동화 핵심기술을 연구·개발하고, CS 분야 세계적인 연구그룹과의 국제공동연구 및 학술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 국가 보안인식 제고를 위한 보안 전문가 양성 등 교육 프로그램과 정기적인 세미나, 공모전 및 컨퍼런스를 주최하고 있습니다. 또한 나이트 스터디 그룹, 멤버십, 인텔리전스 컨소시엄등 다양한 대외 협력 프로그램도 운영 중입니다.
최근 연구(사업) 성과
- IoT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 자동 분석 기술 개발 (2015~2018, 정부지원금 총 30억원)
- 자기학습형 사이버 면역 기술 개발 (2017~2020, 정부지원금 총 14.2억원)